
언론보도
[디지털타임스] 허리 지나 다리까지 뻗어나가는 통증... 허리디스크, 방치하면 큰일
[원문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6122902109923809008
일반적으로 허리디스크는 ‘감기만큼 흔하다’는 소리를 들을 정도로 주변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질환이다. 하지만 그 많은 허리디스크 환자들 중에 신속히 병원을 찾는 경우는 소수에 그친다. 허리 통증이 누구나 한 번쯤은 겪을 만큼 일상적인데다, 당장 건강을 크게 해치는 증상도 아니기 때문이다.
5년 넘게 허리디스크를 앓아 온 전 모씨(67세)도 최근에야 적극적으로 치료에 나선 사례다. 전 씨는 “통증이나 저림은 그 전에도 있었는데, 지난 달부터는 다리에 힘이 쭉 빠지면서 발의 감각도 굉장히 둔해졌다. 덜컥 겁이 나서 비수술 치료를 결정하게 됐다”고 전했다.
실제로 허리디스크는 적절한 치료 없이 방치하면 생각보다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서초 세바른병원 박성준 원장은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사이의 디스크(추간판)이 제 자리에서 밀려나와 주변 신경을 누르는 질환이다. 이 때 돌출된 디스크 조직의 크기가 커 신경을 심하게 압박한다면 하지의 마비, 감각 이상, 대소변 장애 등을 일으키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따라서 허리디스크가 의심된다면 지체하지 말고 병원을 찾는 것이 바람직한데, 자신이 허리디스크를 앓고 있는지 판단하는 데는 하지 직거상 검사가 도움이 된다. 이는 천장을 보고 똑바로 누운 상태에서 양쪽 다리를 번갈아 올려보는 검사다. 만약 다리 뒤쪽으로 전기가 통하듯이 ‘찌릿’ 하는 통증이 있어서 제대로 들어올릴 수 없다면 허리디스크일 가능성이 높다.
다행히 대부분의 허리디스크 환자는 수술 없이 비수술 치료만으로 충분히 증상의 호전이 가능하다. 대표적인 비수술 치료로는 경막외 내시경시술을 들 수 있다.
경막외 내시경시술은 내시경이 내장된 가느다란 관(카테터)을 꼬리뼈 부분으로 삽입, 척추 뼈와 디스크 주변을 살펴보며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후 유착, 염증, 부종 등 통증의 원인이 파악되면 약물을 주입해 제거할 수 있다.
경막외 내시경시술의 가장 큰 특징은 내시경을 활용한 진단이다. 서초 세바른병원 박성준 원장은 “CT나 MRI로도 파악하기 어려운 병증을 내시경으로 찾아낼 수 있어, 허리디스크뿐만 아니라 평소 원인이 명확하지 않은 요통을 앓고 있다면 경막외 내시경시술이 효과를 나타낸다.”고 전했다.
여러 비수술 치료와 마찬가지로 경막외 내시경시술은 30분 내외로 모든 과정이 완료된다. 또한 부분마취 하에 진행되므로 고령의 환자나 당뇨, 고혈압 등의 전신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도 시술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