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보도
[그린데일리] 허리디스크도 조기 치료가 생명... 미리 자가진단하는 방법은?
[원문보기] http://www.greendail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3176
허리디스크는 척추뼈 추간판에 문제가 발생하는 질환이다. 이 질환은 척추뼈 마디의 사이사이에 위치한 원반 모양의 조직인데, 나쁜 자세로 인해 지속적으로 압박을 받으면 내부의 수핵이 흘러나와 주변의 신경을 누르고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물론 디스크의 치료가 모두 장기간의 입원을 요하는 것은 아니다. 통증을 감지했을 때 일찍 병원을 찾기만 한다면 수술이 아닌 비수술 치료 후 당일 퇴원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를 위해선 무엇보다 조기 치료와 빠른 자가진단이 필수다.
허리디스크가 의심될 때,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자가진단법으로는 SLR 테스트 (Straight Leg Raising Test, 하지직거상검사)를 들 수 있다. 천장을 보고 똑바로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편 채로 한 쪽 다리를 서서히 들어올리는 것이다.
서초 세바른병원 김주현 대표원장은 “이 때 환자라면 다리 뒤로 통증이 발생하여 완전히 올리기 힘든 경우가 많은데 이 때의 통증은 마치 전기가 오는 것처럼 저릿한 느낌이 특징이다.”라고 설명했다.
또한 배를 바닥에 두고 누워서 양쪽 다리의 길이를 재면 한 쪽이 더 길 때, 엄지발가락에 제대로 힘이 들어가지 않을 때, 다리가 저리고 차가운데다 감각이 무뎌지는 느낌이 들 때도 허리디스크를 떠올려 보는 것이 좋다.
하지만 자가진단에서 그대로 멈춰서는 소용이 없다. 특히 노년층 가운데는 자가진단 후 의심됨에도 불구하고 약물치료나 물리치료 정도로 증상의 호전을 기대하는 경우가 적지 않은데, 이는 위험한 자세다.
허리디스크는 방치할 경우 비수술이 아닌 수술이 불가피할 뿐만 아니라 하지 마비, 대소변 장애, 보행 장애를 일으킬 가능성도 커진다. 따라서 조금이라도 의심하게 하는 증상이 있다면 즉시 병원을 찾는 것이 우선이다.
앞서 언급한 심각한 장애가 없다면 치료는 그리 어려운 편은 아니다. 이 질환의 비수술 치료는 미세한 카테터를 내부에 삽입하여 제 자리에서 밀려난 디스크 수핵의 부피를 줄여주거나, 그 밖에 통증을 유발하는 염증이나 부종 등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이뤄진다.
그 중 하나가 바로 경막외 내시경시술이다. 이는 꼬리뼈 부분을 통하여 내시경이 장착된 특수 제작된 미세한 관(카테터)을 삽입하는 것으로 시술이 시작된다. 이후 약물을 주입하여 염증이나 유착, 디스크 탈출 등의 통증 원인을 제거하는 것이다.
서초 세바른병원 김주현 대표원장은 “내시경으로 척추 주변을 들여다 보면서 치료하기 때문에 30분만에 진단과 치료가 동시에 이뤄진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신마취를 하지 않고 국소마취만으로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더욱 안전하다.”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