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크 초기에는 손상되고, 찢어진 부위에서 발생하는 염증반응을 가라 앉혀주면 즉각적인 증상호전을 경험할수 있습니다. 디스크 주위의 염증을 가라 앉히는 방법으로는 휴식, 안정(보조기), 약물치료, 물리치료, 도수/재활치료 등의 기본적인 치료를 시행합니다.
통증이 심한 경우에는 디스크에 의한 자극증상을 가라 앉히는 신경주위 주사치료(경막외 신경차단술)를 시행하여 염증반응을 가라앉히고, 손상된 부위는 자연히 회복되도록 유도합니다.
꾸준한 보존적 치료에도 반응하지 않고 통증이 지속되는 경우나 디스크로 인한 극심한 통증이 있는 경우라면 디스크주위 염증, 부종, 유착에 의해 신경주사치료 약물이 병변에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로 이때는 신경에 손상을 입히지 않고, 디스크까지 도달하는 가느다란 플라스틱 카테터를 이용해 염증,부종,유착이 있는 부위를 통과하여 디스크 병변에 직접 약물을 투여할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해 터진 디스크로 인한 신경자극이 가라 앉게되고, 터진 디스크 덩어리가 자연히 잘 흡수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시술인 “신경성형술”치료를 시행합니다. 또한, 터져나온 디스크 덩어리의 크기를 줄여주는 치료를 함께 시행하는데, 터진 디스크는 단백질 성분인데 이곳에 고주파열을 가하게 되면 터진 디스크 덩어리의 볼륨이 줄어들게 되는데 이를 통행 터진디스크가 신경을 압박하는 것을 감소시켜 이로 인한 자극을 해결하는 시술법인 “고주파 수핵 감압술”치료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런 여러 보존적 치료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디스크 덩어리가 더 이상 흡수되지 않고, 남아있으면서 딱딱하게 굳고, 석회까지 끼게 되면 더 이상 자연흡수되지 않고, 신경압박을 지속적으로 초래하여 증상을 유발하는 경우가 생길수 있는데 이때는 흡수되지 않는 디스크를 제거하고 인공디스크를 삽입하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