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풍선확장술
허리에 발생하는 대표적인 질환에는 디스크와 협착증이 있습니다.
디스크는 척추 뼈와 뼈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물렁뼈인데 이 부위가 노화나 퇴행성 변화와 반복적인 자극이나 손상에 의해 파열되면서 증상이 생기는 경우를 말합니다. 주로, 수핵을 감싸고 있는 섬유륜에 균열이나 열상이 생기면서 통증이 시작되며, 갈라진 섬유륜 틈새로 수핵 덩어리가 빠져 나오게 되는 것을 디스크 탈출증이라고 하며, 이때는 허리통증과 더불어 다리까지 당기고, 아픈 하지방사통을 동반하게 됩니다.
협착증은 척추 뒤쪽으로 신경이 지나가는 공간인 척추관이 어떤 이유에서든지 좁아지게 되면서 다리로 내려가는 신경에 압박이 발생하면서 허리통증은 심하지 않으나 엉치~허벅지 다리가 시리고 저리고 아프고 쥐나는 증상 등이 발생합니다. 주로, 척추관 후방부의 황색인대가 두터워지면서 척추관을 좁아지게 해서 신경을 압박하는 경우가 가장 많으며, 디스크의 팽윤이나 후관절막의 비후나 골극형성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척추관이 좁아지게 되면서 신경압박이 발생하는 경우를 척추관 협착증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신경이 눌리게 되면 신경에 혈액순환의 장애를 초래하게 되는데 신경이 지나가는 길을 따라 주로 다리 쪽으로 피가 안 통하는 느낌인 저린감, 쥐나는 느낌, 시린감, 먹먹함, 마비증상 등 신경압박증상이 엉치-허벅지-종아리-발,발끝까지 발생하고, 신경압박이 계속 지속되면 신경주위에 염증, 부종, 유착 등이 발생하여 다리가 당기고 쑤시고 아픈 느낌이 드는 신경자극증상까지 함께 발생하게 됩니다.
그래서 협착증은 신경압박에 의한 증상이기 때문에 허리통증은 별로 심하지 않거나 아예 없으며, 단지, 신경이 지나는 길목인 엉치, 골반부터 허벅지, 종아리, 발까지 신경압박증상이 생긴다는 점이 허리통증이 주된 증상으로 표현되는 허리디스크와 구별되는 큰 차이점 중 하나입니다.
협착증은 좁아진 공간에서 신경이 잘 적응할 수 있도록 도와주면 큰 불편함 없이 지낼 수 있는데,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신경이 압박을 받으면서 혈액순환 제한 및 염증, 부종으로 통증이 심해집니다.
협착증 초기에는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협착증 치료약제와 염증, 부종을 가라앉히는 약물을 병행 투여하며, 퇴행성으로 약해진 척추가 추가적인 자극이 생기지 않도록 허리강화운동을 병행하는데, 허리를 튼튼하게 하는 방법에는 허리강화, 코아운동이외에도 프롤로주사치료가 도움이 됩니다.
이런 기본적인 치료에도 증상이 호전되지 않고 불편감이 지속된다면, 신경압박에 의한 염증, 부종을 가라앉히는 신경주사치료를 통해 좁아진 협착증부위에 직접 약물을 투여하여 증상을 해결하며, 주사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는대로 허리운동을 병행하도록 합니다. 하지만, 반복적인 주사치료에도 불구하고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일정부분이상 호전되지 않을 때는 협착증부위에 염증, 유착이 심해져 주사약물이 깊은 곳까지 들어가지 못하는 경우로 판단할 수 있어 이때는 좁아진 공간을 벌려서 약물을 투여하는 “척추협착 풍선확장술”을 시행하여 좁아지고, 유착이 심한 곳까지 약물을 투여하여 신경주위 혈액순환 개선과 염증, 부종을 가라 앉혀 협착증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증상이 심하지 않거나 조절이 가능한 초기 협착증 치료는 약물치료, 물리치료나 도수치료, 재활운동치료 등을 통해 협착증 증상을 완화시켜 주고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또는 특별한 치료 없이 방치하게 되면 퇴행성 질환은 협착증은 점차 악화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점차 진행되어 중기 협착증 치료의 경우, 비수술치료인 ‘척추협착 풍선확장술’을 통해 신경의 리모델링을 유도하여 증상을 호전시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며, 신경의 리모델링 과정이 더 이상 이루어지지 않는 후기 협착증 치료의 경우에는 근본적으로 신경이 지나는 길을 넓혀주는 ‘황색인대제거술’ 및 ‘인대재건술’과 같은 수술적 치료를 통해 협착증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풍선확장술은 척추의 퇴행성 변화로 좁아진 척추 신경 통로(척추관 및 추간공)에 풍선확장기능이 포함된 특수 카테터를 꼬리뼈부위를 통해 삽입하여 치료한 뒤, 풍선의 확장과 이완을 반복하여 그 동안 협착 및 신경유착으로 먹는 약이나 신경치료 주사약물들이 도달하기 어려웠던 좁아진 신경통로(척추관 및 추간공)을 벌려줌으로서 신경치료약물이 병변까지 잘 도달하여 협착증 치료 효과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치료법입니다.
시술을 통해 신경주위 부종, 염증, 유착이 해결되어 협착증에 의해 좁아진 신경공간 안에서도 척추신경이 잘 적응하고, 리모델링이 잘 이루어지도록 하여 협착증 증상을 개선시키는 척추 비수술 시술법입니다.

시술전 척추관 협착

척추협착 풍선확장술 치료
풍선을 이용하여 협착으로 좁아진 신경통로를 물리적으로 벌려내고, 이를 통해 만들어진 공간으로 신경주위 염증, 부종, 유착을 가라앉히는 신경치료약물을 투입하는 화학적 치료를 동시에 시행하는 특징 때문에 중증도 이상의 협착증 치료에 있어 기존의 신경차단술이나 신경성형술 치료보다 더욱 더 높은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치료에 사용되는 풍선은 말랑말랑한 재질로 신경에 닿아도 손상이 없고 안전하며 보건복지부로부터 신 의료기술(보건복지부 고시 2013-122호)로 인증 받아 안전성 및 유효성이 입증된 시술입니다.
풍선확장술 시술과정
STEP 1

꼬리뼈부위를 통해 풍선이 내장되어 있는 특수카테터를 삽입
STEP 2

영상증폭장치(C-arm)을 통해 좁아진 척추관에 카테터 삽입
STEP 3

좁아진 척추관에 풍선을 부풀려 좁아진 신경관에 공간을 넓힘
STEP 4

넓어진 신경관에 염증제거 및 통증을 가라앉힐 수 있는 특수약물 주입 > 염증. 부종, 유착제거 및 만성통증 감소
65세 여성 ㅣ 척추협착증 ㅣ 척추협착풍선확장술 시행

치료 전

치료 후
증 상
허리통증은 심하지 않으나 주로 양엉치-허벅지-종아리까지 저려서 오래 서거나 걷기가 힘든 상태로 앉거나 누우면 크게 불편하지 않고, 서거나 걸을 때 증상이 심해짐. 걷다보면 허리가 자꾸 숙여지게 되고, 그럴때는 허리가 아프기도 함. 병원에서는 협착증이라고 진단받고, 통증이 심할때는 약물, 주사치료를 하면 통증이 나아져서 다시 생활함. 그러다 최근에 다시 심해지는 통증으로 치료를 하였으나 이번에는 차도가 없고, 점점 더 심해져서 병원에 내원.
치료
요추 척추관 협착증, 전방전위증
경과
척추협착 풍선확장술 시행함. 치료전에 요추 3-4번 사이에 척추관 협착증이 관찰되며, 디스크의 팽윤으로 인해 압박이 더욱 심한 상태로 척추관에 염증과 부종이 있어 신경관이 지저분하게 좁아져 보임. 풍선확장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뒤 좁아지고 지저분해 보이던 척추관이 깨끗하게 염증과 부종이 제거된 상태가 관찰되며, 신경자극이 사라지면서 오래서거나 걸을 때 허리가 아프고 다리까지 저리던 증상과 걷다보면 자꾸만 숙여지는 증상도 사라져 허리를 펴고 걸을수 있게 됨. 이후 허리강화운동 및 걷기운동을 하며 일상생활을 편안하게 할 정도로 회복됨.
57세 남성 ㅣ 척추협착증 ㅣ 척추협착풍선확장술 시행

치료 전

치료 후
증 상
평소 허리가 간간이 아프긴 했으나 다리로 내려가는 증상은 없었는데. 얼마 전, 무리한 뒤로 허리통증도 심해지고, 다리까지 당기고 저려서 오래 서거나 걷는 것이 힘들어짐. 오래 앉기가 어렵고, 앉았다 일어나면 허리가 바로 안 펴지고, 허리를 숙일 때마다 통증이 심해짐. 막상 서 있으면 허리통증은 덜한데 점차 다리가 저려와서 오래 서거나 걷기도 힘들어지는 상태. 가까운 병원에 내원해서 약물치료, 주사치료, 도수치료 시행하고 다소 호전되는 양상이나 다시 나빠지기를 반복함. 예전에는 비슷한 증상으로 치료하면 호전되었는데 이번에는 낫지 않고, 더욱 심해지는 양상으로 본원에 내원하게 됨.
치료
척추관 협착증 및 디스크 팽윤증, 변성증
경과
척추협착 풍선확장술을 시행. 치료전 검사에서 요추 4-5번에 척추관 협착증을 동반한 디스크 팽윤증이 관찰되며, 허리통증과 하지통증이 모두 있음. 척추협착 풍선확장술을 시행한 뒤 좁아졌던 신경관이 치료 후 검사에서 50%가량 회복되었으며, 신경압박에 의한 염증과 부종, 유착이 제거되면서 허리통증 및 하지통증이 개선됨. 치료후 오래 서거나 걷기도 가능해져서 허리강화운동 및 걷기운동, 피트니스운동을 하면서 협착증을 회복함. 현재 일상생활 및 직장생활에 큰 지장이 없을 정도로 회복하여 지내는 중.
- 신경통로(척추관 및 추간공)가 좁아진 중증도의 협착증으로 인한 다리통증, 보행지장 및 요통을 함께 호소하는 환자에게 적합
- 투시영상장비(C-arm)를 통해 통증원인이 되는 부위를 실시간으로 보면서 치료
- 전신마취가 아닌 국소 마취하에 진행되며 흉터가 남지 않으며 당일귀가 가능
- 당뇨, 고혈압 등 내과질환을 가진 고령의 환자도 가능
- 시술 다음날부터 일상적인 생활 바로 가능하며, 증상이 호전되면 재활치료, 보강치료를 통해 재발을 방지
- 20분 정도의 시술시간으로 입원이 필요 없음. 당일 퇴원도 가능
추간공 풍선확장술

기존의 꼬리뼈 풍선확장술의 단점을 보완한 치료법으로 특허청 정식등록을 이루어냄.
기존 꼬리뼈를 통해 시행한 풍선확장술은 상위분절(요추1-2-3사이)치료과정에 있어 진입이 어려워 치료에 다소 어려운 부분들이 발생하였는데 이를 보완한 치료법입니다.
기존의 풍선확장술의 경우 (1)상위 분절을 포함한 척추 측면에 발생하는 추간공 협착증의 경우 (2)꼬리뼈의 모양에 따라 진입이 어려운 경우 (3) 아랫마디에 행해진 기존수술(디스크수술, 나사못 고정술 등)에 의해 발생한 유착이 있는 경우에는 꼬리뼈를 통해서는 협착이 발생한 상위 병변까지 접근이 어려운 상황들이 발생합니다. 이런 기존의 풍선확장술 치료의 단점들을 극복하고자 세바른병원에서 특허기술을 출원하여 정식 등록된 특수 카테터를 이용하여 추간공 협착증 치료시 꼬리뼈를 통한 접근이 아닌 몸통 옆구리에서 직접 카테터를 삽입하여 병변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풍선을 부풀려 협착부위를 넓혀주는 치료법입니다.
추간공 협착증이란 척추 양옆으로 뻗어나가는 신경근이 추간공에서 눌리는 질환으로 허리 아래부터 옆구리, 엉치,골반~허벅지 종아리까지 저리고 당기는 증상이 주로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꼬리뼈가 아닌 몸통 옆구리에서 카테터를 삽입하기 때문에”
- 협착 병변까지의 도달 거리가 짧음.
- 퇴행성 척추 구조물에도 방해를 받지 않아 일반 시술보다 더욱 용이.
- 척수를 보호하는 경막의 자극 없이 병변에 접근 가능하므로 척추신경자극이 적음.
- 시술 당일이나 다음날 퇴원이 가능
- 절개가 없어 출혈 및 통증은 물론 감염의 위험이 적으며 주변 조직의 손상이 없음.
- 절개나 절제를 하지 않기 때문에 흉터가 거의 생기지 않습니다.
1단계

옆구리를 통해 풍선이 내장되어 있는 특수 카테터를 삽입
2단계

영상증폭장치(C-arm)을 통해 병변위치에 ㄱ자 모양의 특수 카테터를 삽입
3단계

좁아진 척추관에 풍선(공기방울)을 부풀려 좁아진 신경관에 공간을 넓힘
4단계

넓어진 신경관에 염증 제거 및 통증을 가라앉힐 수 있는 특수 약물 분사
5단계

염증제거 및 만성통증 감소와 막힌 신경의 흐름을 회복
6단계

옆구리협착(좌)과 시술후 모습(우)
- 앉거나 숙일때는 괜찮으나 서거나 걸을 때 다리까지 통증이 발생하는 추간공 협착증환자
- 중등도의 추간공 협착증으로 진단후 약물치료, 신경주사치료, 도수치료 등 보존적 치료를 꾸준히 하였으나 증상이 호전되지 않거나 일시적으로 호전되었다가 다시 악화되기를 반복하는 경우
- 아랫마디에 수술(디스크수술이나 나사못 고정술)을 하였으나 상위마디에 협착증이 생겨 기존의 풍선확장술로는 꼬리뼈를 통한 진입이 어려워 치료를 받지 못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