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보도
[CCTV뉴스] 십자인대파열로 인한 무릎통증, 운동 즐긴다면 일반인도 예외 아냐
[원문보기] http://www.cctv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8697
축구나 농구, 야구 등 스포츠를 좋아한다면 몇몇 병명들을 아주 흔하게 접할 수 있다. 십자인대파열도 그 중 하나다. 십자인대파열을 겪은 운동선수가 당분간 복귀가 어렵다거나, 이후 기량이 전과 같지 않다는 스포츠 뉴스들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실제로 십자인대파열은 스포츠 선수들에게 ‘공공의 적’이나 다름 없다. 무릎 관절 내부에 위치한 십자인대는 무릎이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돕는데, 이 부분이 파열되면 심한 통증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제대로 걸을 수 없게 된다.
서초 세바른병원 조완종 원장은 “십자인대는 두 개의 인대가 앞뒤로 교차되어 있으며 이를 전방, 후방십자인대로 나눠 부른다. 흔히 무릎이 과도하게 뒤틀리거나 젖혀질 때 파열되는데, ‘뚝’하는 파열음이 들리기도 한다. 환자에 따라 단순 근육통으로 착각할 만큼 증상이 경미할 수도 있지만, 일단 파열이 일어났다면 시간이 지날 수록 통증과 붓기가 심해진다”고 전했다.
십자인대파열의 대상은 비단 스포츠 선수뿐만은 아니다. 운동을 즐기는 일반인도 예외가 될 수 없다. 더군다나 최근에는 스포츠 동호회 활동을 통해 정기적으로 축구나 농구 등을 하는 사람들이 많고, 그만큼 스포츠 손상에 노출되는 상황도 빈번해졌다.
따라서 스포츠 중에 관절 통증을 느낀다면 지체하지 말고 치료에 나서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무릎에 과한 무게가 실린 후 통증과 붓기가 있고, 무릎이 불안정해지는 느낌이 든다면 한 번쯤 십자인대파열을 의심해보는 것이 좋다.
◈ 2차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는 십자인대파열... 파열음과 함께 무릎 통증 있다면 가능성 높아
십자인대파열이 발생했다면 일단은 응급처치가 우선이다. 무릎 부위를 붕대 등으로 고정시켜 주고 냉찜질로 부기를 가라앉히는 것이다. 이후 최대한 빨리 병원을 찾아야 하는데, 십자인대파열은 퇴행성관절염과 같은 다른 관절 질환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조기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다행히 파열의 정도가 심하지 않다면 프로롤테라피와 같은 비수술적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증식치료라고도 불리는 프롤로테라피는 간단한 주사치료로써, 고농도의 포도당을 주입하여 손상된 힘줄이나 인대, 연골 등을 재생시키는 치료다.
하지만 인대가 완전히 파열된 상태라면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하다. 관절내시경을 이용하여 끊어진 인대를 재건하는 과정이 필요한 것이다. 서초 세바른병원 조완종 원장은 “1cm 내외의 작은 구멍으로 초소형 카메라가 부착된 관절경을 넣어 손상부위를 확인한다. 그 후 관절경 주위에 수술 기구를 삽입해 끊어진 인대를 바로 봉합해주거나, 다른 인대를 이식하는 재건술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관절내시경수술은 최소절개 후 이뤄지므로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도 1시간 정도로 짧은 편이다. 하지만 수술 후 운동능력이 회복되기까지는 3개월 가량이 소요되므로 그 때까지 무릎관절을 무리하게 사용하는 것은 금물이다. 특히 무릎을 굽혀 쪼그려 앉는 등 무릎에 압박을 가하는 행동은 최대한 자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