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보도
[디지털타임스] “디스크 수술했는데도 통증 그대로...” 비수술 치료로 호전 가능
[원문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031702109923811025
척추 치료에 있어 수술은 보통 마지막 단계로 여겨진다. 전신마취나 피부절개가 부담스럽지만, 증상이나 통증이 심한 경우 수술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수술 치료 자체가 반드시 완치를 보장하는 것은 아니다.
서초 세바른병원 정성삼 병원장은 “척추 자체가 노화를 겪으면서 계속 약해지기 때문에 수술이 성공적으로 시행됐다 하더라도 척추질환은 재발할 수 있다. 또한 수술 부위에 유착이나 염증이 생기거나, 수술 후 척추 주변의 근육이나 인대가 약해져 통증을 일으키기도 한다.”고 설명했다.
이를 흔히 척추수술 후 통증증후군이라 일컫는데,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등으로 인해 수술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지속되는 것이다. 실제로 척추수술 후 통증증후군을 겪는 바람에 재차 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적지 않다.
이들은 전신마취 후 피부를 절개해야 하는 수술을 다시 받아야 할지도 모른다는 생각에 큰 부담을 갖는다. 하지만 최근에는 비수술적 치료법이 다양하게 개발돼 척추수술 후 계속되는 통증을 조절하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 바로 경막외 유착박리술이 대표적이다.
◈ 부분마취 하에 미세 카테터 삽입... 약물 주입하여 통증 원인 제거
허리디스크나 척추관협착증 등 척추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수술을 받은 후에는 신경 뿌리에 유착이 생길 수 있다. 이 유착부위에 윤활 역할을 해주는 약물을 주입해 박리시키는 것이 바로 경막외 유착박리술이다. 이를 통해 염증이나 부종 등을 가라앉히면 통증 완화에 효과가 있다.
서초 세바른병원 정성삼 병원장은 “약물은 국소마취 후 척추에 삽입한 미세 카테터를 통해 주입하는데, 시술 내내 영상 기기로 척추 내부를 확인하며 시행하므로 정밀한 부위에 약물을 적용할 수 있다.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은 20분 남짓으로 매우 짧은 편이다”라고 밝혔다.
별도의 입원이 필요 없이 몇 시간 정도 침상에서 안정을 취하고 나면 시술 당일 퇴원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환자가 느끼는 부담이 상당히 적고, 시간적 여유가 없는 직장인 환자들도 걱정 없이 시술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재 척추질환을 앓고 있다면 수술 치료는 신중하게 고려해야 한다. 심각한 신경 손상이나 현저한 마비 증상 등이 없다면 안전성이 높고 치료시간이 적게 걸리는 비수술 치료를 먼저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전문의들은 조언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