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보도
[디지털타임스] "허리 뒤로 젖히면 통증 심해져" 노년층 괴롭히는 척추관협착증
[원문보기]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7092102109923811010
척추질환의 발병 원인은 매우 다양하지만 그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역시 노화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척추 구조물이 점점 퇴행성 변화를 일으키면서 각종 질환을 초래하는 것이다. 60, 70대 이상에서 자주 발견되는 척추관협착증 역시 노화가 큰 영향을 미친다.
척추관은 신경이 지나가는 척추뼈 내부의 공간을 일컫는데, 이 척추관이 좁아지면서 내부의 신경을 누르고 통증을 일으키는 것이 바로 척추관협착증이다.
척추는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불안정해지는데, 이를 보완하는 과정에서 척추관 주변의 인대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지고, 가시뼈가 자라나거나 척추 후관절이 비후되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해 신경 압박이 발생하면서 각종 통증의 원인이 된다.
척추관협착증이 유발하는 대표적인 증상은 다리의 통증이다. 대체로 척추질환은 요통을 기본으로 하지만 척추관협착증 환자들은 허리보다 다리 통증을 더욱 호소한다. 이 때문에 10분도 채 걷지 못하는 환자들이 흔하며, 양쪽 다리에 힘이 빠지거나 엉치에 찌르는 듯한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허리를 뒤로 젖힐 때 통증이 심해지는 것 역시 척추관협착증의 특징이다. 반대로 허리를 굽히면 통증이 잦아든다. 마치 쇼핑 카트에 기대듯 상체를 앞으로 숙이면 일시적으로나마 통증이 줄어드는 것이다.
이러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척추관의 폭을 늘려 신경 압박을 해소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과거에는 수술을 통해 인대나 뼈 조직 일부를 직접 제거하는 방법을 사용했지만, 이는 수술적 치료인 만큼 정상 조직의 손상이 불가피하고 치료 및 회복에 긴 시간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다행히 최근에는 수술적 치료의 단점을 보완한 비수술 치료가 폭넓게 시행되고 있는 추세다. 척추관협착증 치료에 특화된 척추협착 풍선확장술 역시 지름 2mm의 미세 카테터를 이용, 정상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병변만을 제거해준다.
척추협착 풍선확장술은 말 그대로 풍선을 이용하여 척추관 내부의 신경유착을 해결해주는 시술이다. 꼬리뼈 부분을 통해 작은 풍선이 내장된 카테터를 척추관 내부에 위치시킨 뒤, 풍선을 부풀리면 척추관의 폭이 넓어지는 효과가 있다.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신경 압박해 해소되어 통증이 사라지게 된다.
다른 비수술 치료와 마찬가지로 전신마취가 아닌 부분마취 하에 시행하기 때문에 당뇨, 고혈압 등을 앓는 환자나 마취를 꺼리는 환자에게도 부담이 없다. 30분 가량이면 모든 치료 과정이 종료되며, 입원 없이 시술 당일 퇴원하여 일상생활로 복귀가 가능하다.
(도움말 : 서초 세바른병원 박성준 진료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