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언론보도
[칼럼] 고주파수핵감압술, 어떤 환자가 효과적일까
[칼럼] 고주파수핵감압술, 어떤 환자가 효과적일까
매일 대중교통을 이용하여 출퇴근을 하는 직장인들을 보면 스마트폰을 보기 위해 고개를 숙이고 있는 이들이 많다. 출근 후에는 컴퓨터 앞에 앉아 장시간 업무를 보게 되고 퇴근 후 집에 돌아와서는 자기 전 까지 스마트폰을 눈에서 떼지 못한다. 이와 같이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하루 종일 노출되어 있는 현대인들의 생활은 척추에 무리를 주어 허리디스크를 유발하기 십상이다.
허리디스크는 척추뼈와 뼈 사이의 구조물인 디스크가 튀어나오는 증상이다. 일반적으로 허리디스크라고 부르고 있으나 정식 명칭은 추간판탈출증이다. 추간판은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물리적 충격을 완화해 주고 뼈 끼리 직접 부딪히는 현상을 막아 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추간판이 튀어나오게 되면 주변의 신경이 눌려 염증을 동반한 다양한 통증을 유발하여 허리디스크로 이어지게 된다.
허리디스크의 원인은 노화에 따른 척추의 퇴행성 변화, 갑작스런 물리적 충격, 무거운 물건을 잘못 드는 경우, 바르지 못한 자세 및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혹여 오래 앉아있기가 힘들거나 앉았다 일어설 때 허리가 펴지지 않는다면 허리디스크를 의심해 볼 수 있다.
간단하게 허리디스크를 자가진단하는 방법으로는 똑바로 누워서 양쪽 다리의 길이를 쟀을 때 길이가 다르거나 골반이 비뚤어졌다면 척추가 불안정한 상태이다. 똑바로 서서 발뒤꿈치로만 걸을 때 힘들거나 통증이 느껴진다면 병원을 방문하여 정밀한 진단을 받아 보는 것이 좋다.
허리디스크는 마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를 제외하고 비수술적 치료법을 권하고 있다. 비수술 치료법은 전신마취가 아닌 부분마취로 진행되어 수술에 대한 부담이 적고 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하다. 비수술 치료법으로는 내시경 디스크제거술, 내시경 추간공확장술 등 다양한데 그 중 하나가 고주파수핵감압술이다.
고주파수핵감압술은 방사선 영상 장치를 활용하여 디스크 주변 통증을 일으키는 부위에 열 에너지를 가해 선택적으로 신경을 차단한다. 팽창된 디스크의 경우 돌출된 디스크 크기를 감소하여 신경 압박을 줄이고 디스크를 건강하게 만드는 치료법으로 부작용이나 합병증은 줄이고 치료 성공률을 높인 방법이다. 주로 수술 시 신경 손상 위험이 높은 경우나 허리 및 목 디스크 관련 질환, 척추관협착증 초기, 급성 섬유륜 파열, 추간판 내장증, 추간판 탈출증 등일 때 적용된다.
허리디스크는 생활습관으로도 완화될 수 있다. 의자에 장시간 앉아있어야 한다면 등받이에 허리를 붙여 반듯이 앉고 1시간마다 스트레칭이나 잠시 걸어주는 것이 좋다. 누울 때는 옆으로 눕지 않고 반듯이 누우며 일어날 때는 옆으로 일어나는 것이 좋다. 더불어 척추에 무리가 가지 않는 가벼운 걷기 운동과 수영을 꾸준히 한다면 척추 건강에 도움이 된다.
척추 건강을 지키려면 평소 꾸준하게 허리의 근력을 강화해 주는 운동과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허리에 부담이 가는 무리한 운동은 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