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 및 검사

내과진료 및 성인예방접종
  • 호흡기 질환 : 감기, 비염, 축농증, 기관지염, 폐렴, 천식 기타 호흡기질환
  • 소화기 질환 : 식도염, 위염,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위식도 역류질환
  • 심혈관 질환 : 고혈압, 기타심장질환
  • 신장질환 : 방광염, 신우신염
  • 내분비질환 : 갑상샘 기능이상, 당뇨병, 고지혈증
  • 기타질환 : 비만, 탈모, 여드름, 만성피로
  • 성인 예방접종 : 독감(인플루엔자), 폐렴구균, 파상풍, B형간염, A형간염, 대상포진
골다공증 클리닉

골다공증은 뼈에 구멍이 생긴다는 의미로 뼈의 강도가 약해져서 쉽게 골절되는 골격계 질환입니다.
뼈의 강도는 뼈의 양과 뼈의 질에 의해서 결정이 되는데, 뼈의 질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는 뼈의 구조 및 교체율, 무기질화, 미세 손상 등이 있으며, 골다공증을 앓는 환자의 경우, 뼈의 밀도와 강도가 약해져서 작은 충격에도 쉽게 골절될 수 있기 때문에 지속적인 치료와 예방이 필요합니다.

 진단

  • 방사선 소견 : 평면 방사선 사진에서는 골량 의 30%정도가 감소해야 변화를 볼 수 있습니다.
  • 혈청 검사 : 혈청칼슘·인 또는 혈청 알카리성 탈인산 분해 효소를 측정하게 됩니다. 혈청칼슘 정상 혹은 감소, 혈청인은 대부분 정상, 혈청 알카리성 탈인산 분해 효소는 대체로 증가하거나 정상입니다.
  • 골밀도 측정기 : 골다공증은 골절이 생기기 전에 골밀도를 측정함으로써 진단이 가능합니다. 골밀도 측정법은 매우 다양하며 초음파, 이중에너지 X선, 컴퓨터 단층 촬영 등이 있으며 모두 미래의 골절을 예측하는 방법으로 쓰이고 있습니다.

검사대상

  • 폐경기에 접어들거나 폐경을 맞이한 경우
  • 난소 절제술 등으로 조기 폐경이 된 경우
  • 운동량이 부족 및 질병 등으로 오랫동안 누워있는 경우
  • 과도한 음주 및 흡연을 하는 경우
  • 부갑상선, 갑상선 기능항진증 또는 당뇨병을 앓고 있는 경우
  • 위장질환으로 오랫동안 영양섭취가 부족한 경우부신피질 호르몬을 오랫동안 복용한 경우

■ 골다공증 치료법

골절이 있는 경우, 골절이 발생한 각 부위에 따라 적절하게 치료를 받게 되며 골절 없이 골다공증만 있는 경우에는 생활습관 개선과 약물 치료를 병행하며 골절의 위험요소를 없애는 것이 중요합니다.

모든 약물치료에는 칼슘과 비타민D를 함께 투여해야 하는데 칼슘은 하루 1000~1200mg, 비타민 D는 하루 400~800 단위를 권장합니다.

골다공증의 치료약으로는 골흡수 억제제, 선택적 에스트로겐 수용체 조절제, 부갑상선호르몬 제제 등이 있으며, 경구 복용으로는 1일 1회, 1주 1회, 1달 1회 복용할 수 있고, 정맥주사제의 경우 3개월에 한번, 1년에 한 번씩 맞는 것이 가능해 선택의 폭이 넓습니다.

초음파 검진

■ 갑상선 초음파 검사 – 갑상선암 진단의 가장 정확한 검사방법

갑상선이란,

갑상선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 기관 중 하나로 위치는 목 아래, 앞에서 보면 기도 주변에 나비 넥타이 모양으로 위치를 하고 있습니다.

갑상선 초음파 검사

초음파는 결절의 크기, 모양, 위치, 결절의 개수 등을 알 수 있을 뿐 아니라, 결절의 남성변화(속에 피나 물이 고이는 경우)나 갑상선 결절질환에 이용되며 초음파검사는 임신 중 수유중인 여성에게도 해가 없으므로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습니다.

■ 복부 초음파 검사

복부 초음파는 복부의 주요 장기 즉, 간, 췌장, 비장, 신장등을 우선적으로 관찰을 하는 수단으로, 보통 검진 목적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주로 만성간염환자에서 간 경변으로의 이행여부와 간암의 발생을 보기 위해 복부초음파를 이용하여 질병의 경과를 추적 관찰합니다.

■ 복부 초음파 검사

경동맥 초음파검사

뇌로 가는 혈액의 80%가 통과하는 목 부위의 중요한 혈관인 경동맥을 검사하는 장비로, 목 혈관내벽의 두께, 동맥경화, 협착유무를 측정 및 진단하는데 사용을 하며 중풍(뇌졸증) 위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진단하는 검사.

경동맥 초음파검사의 필요성

  1. 각종 성인병(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및 가족력이 있는 경우.
  2. 뇌졸중 및 심혈관 질환으로 앓고 계신 분이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3. 뇌졸중 전조 증상이 있는경우.
  4. 종종 어지럼증이 발생되거나 숨이 많이 차는 경우.
뇌신경 검진

뇌신경 질환은 발병되기 전 초기에 발견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뇌신경 질환에 대해 전문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전문 의료진과 검사 장비를 구축을 하고 환자분들께서 원하시는 뇌신경계 질환 검사를 받으실 수 있도록 도움을 드리고 있습니다.

■ MRI · MRA 검사

뇌졸중 및 동맥경화성 협착, 혈관 꽈리 등의 진단에 가장 중요하며 MRI는 뇌 자체를 MRA는 뇌혈관을 보여주며, MRA는 뇌 / 목 혈관 좁아짐(심한 동맥경화)은 물론 특히 치명적일 우려가 높은 지주막하 뇌출혈을 일으키는 혈관 ‘꽈리’를 잘 보여줍니다.

Brain Sagittal

Brain Axial

Brain Coronal

Brain Diffusion

Cerebrovascular MRA

MRI, MRA의 진단 범위

뇌졸중, 동맥경화, 뇌경색, 뇌출혈, 뇌종양, 진행성 염증성 질환, 뇌동맥류, 두통, 치매, 수면장애 등

■ 경동맥초음파검사

뇌로 가는 혈액의 80%가 통과하는 목 부위의 중요한 혈관인 경동맥을 검사하는 장비
목 혈관내벽의 두께, 동맥경화, 협착유무를 측정 및 진단하는데 사용을 하며 중풍(뇌졸증)위험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진단하는 검사

■ 경동맥초음파 검사가 필요한 경우

  1. 각종 성인병(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등) 및 가족력이 있는 경우
  2. 뇌졸중 및 심혈관 질환으로 앓고 계신 분이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3. 뇌졸중 전조 증상이 있는 경우
  4. 종종 어지럼증이 발생되거나 숨이 많이 차는 경우

■ 혈액검사

몸 전체 혈관이 얼마나 탄력이 좋은지 굳어져 있는지를 측정하는 검사이며 초기 고혈압의 진단에도 도움이 되며 혈관벽을 보호하고 동맥경화를 방지하는 혈관내피세포를 손상시키는 homocystein의 농도를 검사하는 것으로 혈중 homocystein 농도가 높은 사람은 심근경색증, 뇌혈관 질환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